RasberryPi로 Terabee 사용
( 환경 : Raspbian(Linux환경) , RasberryPi 2 B+ )
모형
구성
TOF Sensor USB Adopter
면적
핀 구성
PIN | Function |
1 | +5V out (use only to provide voltage levels to programming devices, max. 10mA!) |
2 | +5V out (use only to provide voltage levels to programming devices, max. 10mA!) |
3 | SCLK (for SPI or flashing) |
4 | MISO |
5 | MOSI |
6 | Reset in (pull to GND to reset) |
7 | Arduino compatible reset in (to DTR) |
8 | User I/O 2 |
9 | User I/O 1 |
10 | SCL |
11 | SDA |
12 | RX(5V Lev) |
13 | TX(5V Lev) |
14 | Vcc(10V-20V) |
15 | GND |
드라이버 구성
윈도우에서 사용 할 때는 드라이버를 직접 깔아서 사용했지만 Ubuntu 기반인 라즈비안은 인식되어있다.
보통은 /dev/ttyUSB0 혹은 1,2 .... 로 되어있다.
screen 명령어를 통해서 Access하게 되면
이런식으로 결과 값이 주르륵 나온다.
무슨소릴까... Binary 모드이기 때문이다.
모드를 바꿔봐야겠다.
사용 Mode
(Shift + Key)
Key | Mode | Function |
P | 정밀모드 | 정확한 값을 내기위해 내부 파라미터를 적용한다. 이 기능은 반복율과 반응속도를 줄여준다 |
F | 속도모드 | 빠른 반복율과 반응속도가 보장되지만 판독의 정확성이 줄어든다. |
B | 바이너리 모드 | 출력상태를 Binary형태로 출력 |
T | 텍스트 모드 | 출력상태를 Text형태로 출력 |
Shift + T (Text 모드로 변경해보면...)
우리가 원하든 mm 단위로 출력된다!
'Study Note > SB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두이노] 초음파센서(HC-SR04) 사용하기 (0) | 2016.12.19 |
---|---|
[아두이노] LED 제어하기 (0) | 2016.12.19 |
[아두이노] 온도센서(LM35) 사용 (0) | 2016.12.19 |
[아두이노] Tool 설치 및 기본 정보 (0) | 2016.12.19 |
[라즈베리파이] LED 제어 (C언어) (1) | 2016.11.03 |